정부와 여당이 종부세와 금투세 폐지를 추진한다고 밝혔어요. 이외에 상속세와 증여세 등 전반적인 세금제도 개편까지 논의되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이 나오고 있는지 정리했어요. 1️⃣ 종합부동산세 📝 종합부동산세 : 주택의 공시 가격이 9억 원(1주택자는 12억 원)을 넘는 주택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이에요. 조세 형평성을 높이고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됐는데, 부담이 과중하다는 논란이 있었어요. 🏦 종부세, 폐지하는 게 어때? 대통령실은 지난 5월 31일 종부세 폐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어요. 중산층에게 과도한 세금 부담을 주고, 징벌적 성격이 강하다는 이유예요. 기획재정부도 현재 3주택 이상 다주택자에게 적용되는 중과세를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나섰어요. 현재 다주택자..
요즘 교통비 때문에 부담 느끼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소년에게 작년 1년 동안 쓴 교통비를 돌려주는 제도가 있다고 해요. 만 23세까지 신청할 수 있으니 경기도에 사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려주세요! 📅 이번주까지 신청받아요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으로, 경기도에 살면서 경기버스를 탄 청소년이면 교통비의 100%를 연간 12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어요.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3세~23세 청소년이 대상이에요. 신청하면 지역화폐로 적립되는데 청소년 본인의 지역화폐가 없다면 대리인의 지역화폐로 등록할 수도 있어요. 2월에 한 번, 8월에 한 번 신청을 받는데, 상반기에 신청하지 못했다면 하반기에 신청하면 돼요. 🚌 경기도 버스 이용한 것만 인정되나요? 경기버스를 단독으로 이용한 것부터,..
🤵🏻👰🏻 혼인 증여재산공제의 핵심 내용은? 부모가 성년인 자녀(손자녀 포함)에게 증여를 하면 5천만 원을 공제합니다. 이번에 신설된 혼인 증여재산공제는 자녀가 결혼을 하면 추가로 1억 원을 공제한다는 내용인데요. 세부적으로 보면, 거주자(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인 자녀가 혼인 전·후 2년 내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를 받으면 1억 원의 공제가 가능하게 됩니다. 다만, 혼인 증여재산공제를 적용받고 혼인하지 않는 경우 등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면 수정 신고 등을 해야 해요. 1억 원의 공제 한도는 주는 사람이 아닌 받는 사람을 기준으로 하는데요. 따라서 결혼하는 부부가 양가에서 각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으면 총 2억 원을 공제받을 수 있어요. 만약 결혼하는 부부가 각각 직계존속으로부터 10년 이내에 증여받은 적이..
해가 바뀌면 여기저기 달라지는 게 참 많죠. 특히 정부 정책은 대부분 새해를 기점으로 새로 적용되는데요. 2024년에는 어떤 제도가 달라지는지 정리했어요. 🪙 최저임금 인상 2024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으로 지난 2023년보다 2.5% 올랐어요. 주 40시간 기준 월급으로 계산하면 206만 740원이에요. 군인 월급도 함께 오르는데요. 기본적인 최저임금 인상에 더해 정부가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해요. 병장의 월급은 지난해 100만 원에서 올해 125만 원으로 인상돼요. 🤵🏻👰🏻 결혼하면 증여세 면제 혼인신고나 출산 2년 내에 조부모나 부모로부터 증여를 받을 떄는 1억 원을 추가로 공제해주기로 했어요. 기본 공제액인 5,000만 원을 포함하면 결혼을 할 때는 1억 5,000만 원까지 세금 없이 증..
12월 한 달간 신한은행, 하나은행, KB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 IBK 기업은행에서 가계 대출에 대한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돼요.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계 대출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정책인데요. 수수료를 없애 조기 상환을 유도하겠다는 목적이에요. 중도상환수수료는 대출을 약속한 기간보다 일찍 갚을 때 은행에 내야하는 수수료에요. 은행 입장에서는 빚을 빨리 상환하면 원래 내려고 했던 이자 수익 등을 낼 수 없기 때문에 범칙금 성격의 수수료를 매겨요. ✏️ 얼마나 내야 하는데요? 3억 원을 3년 만기로 빌렸다가 1년 만에 갚으려면 중도상환수수료 약 300만 원을 내야 해요. *고정 · 변동형 금리 방식 및 대출 상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그런데 정부는 은행의 중도상환수수료 산정 방식이 합리..
2024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이 시작됐어요! 이번에는 받을 수 있는 장학금 규모도 늘어났어요. 신청 기간과 조건 꼼꼼하게 확인해 보세요. ※ 소득과 성적 기준을 맞춰야 해요 ※ 국가장학금은 소득과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대학생들에게 나라에서 학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에요. 💵 소득 장학금을 받으려면 가구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 소득은 10구간으로 나뉘는데, 이 중 8구간 이내면 신청할 수 있어요. 구간의 경계가 얼마인지는 매년 중위소득에 따라 달라져요. 2024년 기준은 오는 1월에 발표될 예정인데, 아래 2023년 자료를 통해 대략적인 구간을 가늠할 수 있어요. 📖 학점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을 수강해야 하고, 성적은 100점 중 80점, 보통 B학점 이상을 받아야 장학금을 받을 수 있어요. 신..